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자바
- javascript
- 웹프로그래밍
- 웹
- 코딩
- jsp
- 공부
- 주말이다..
- DB
- 객체지향
- ERWin
- 데이터베이스
- web
- CSS
- 테이블
- sql
- 객제지향
- 오라클
- Oracle
- 프로젝트
- squery
- 공부를열심히
- 프로그래밍
- html
- Java
- UI
- orcle
- Project
- 객체지향프로그래밍
- 객제지향프로그래밍
- Today
- Total
햄찌개
HttpServletResponse 본문
HttpServletResponse :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응답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캡슐화
Http에서 response 패키징 방식
1. response Line
1) Status Code : 처리 결과를 지칭하는 숫자 코드 (sendError, sendRedirect)
(1) 100~ : ING(WebSocket)
(2) 200~ : OK
(3) 300~ : 클라이언트에게 추가 액션을 요구 (****중-요****)
302/307(Moved) : Location Header와 병행 사용 (리다이렉션 방식)
304 -> Not Modified : 정적 리소스는 캐시로 저장된다. 그 후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할 때, 요청하는 자료가 이전의 자료와 동일하다면 캐시를 뒤져볼 것을 요청하는 코드이다.
(4) 400~ : 클라이언트 사이드 오류로 인한 FAIL
400 -> Bad Request
401 -> Unauthorized : 들어올 수 있으나, 허가된 유저만 출입 가능
403 -> Forbidden : 아예 들어올 수 없음
404 -> Not Found
405 -> Method Not Allowed : Post 방식을 원하는데 지원하지 않을 때
415 -> Media Not Supported
(5) 500~ : 서버 사이드 오류로 인한 FAIL
2) Protocol/ver
2. response Header : metadata header, 응답에 대한 설정 정보
Content-Type <% response.setContentType("text/plain; charset=UTF-8"); %>
Cache-Control
Refresh
Location-Header
3. response Body : message body, content body
'웹기반어플리케이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lowControl (0) | 2020.12.03 |
---|---|
[HTTP] HTTP 특성(비연결성, 무상태)과 구성요소 그리고 Restful API (0) | 2020.12.02 |
jsp 소스 표준 구성 요소 (0) | 2020.11.26 |
객체지향 5대원칙 : SOLID (0) | 2020.11.25 |
모델1, 모델2 (0) | 2020.11.25 |